본문 바로가기

Java

1단계 계산기 기능 정리 while (true) { boolean possible = true; // boolean은 연산 처리와 오류 방지 로직을 깔끔하게 제어하기 위한 장치로써 사용했다. // 다음 계산시에 true로 다시 바꿔주기 위해 반복문 맨 윗줄에 적어주었다. System.out.print("사칙연산 기호를 입력하세요 : "); char operator = sc.next().charAt(0); double result = 0; // 나눗셈에서 소숫점까지 표현해주기 위해 double로 표현 switch (operator) { ca.. 더보기
객체지향 이해하기 class 클래스 { 1. 속성 - 변수 선언으로 표현할 수 있다. 2. 생성자 - 조립 설명서 특징 : 클래스와 이름이 같다. 반환 타입이 존재하지 않는다. 여러 개가 존재할 수 있다. 3. 기능 (메서드 부분)} JVM Method 영역Method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는 프로그램 전체에서 공용으로 활용 가능static 으로 선언된 변수와 메서드들이 이 공간에 위치하게 됩이 공간에 저장된 데이터는 공용으로 사용 가능Heap 영역new 키워드로 생성된 객체는 Heap 영역에 저장 (객체 데이터)프로그램 실행 흐름에서 Stack 영역의 변수에 Heap 영역의 메모리 주소값이 저장Stack 영역메서드가 호.. 더보기
메서드 활용 우선, 아래에서 int sum(int value1, int value2) 가 보이는데,여기서 헷갈릴 수 있는 점을 짚고 넘어가려고한다. int sum = a + b; 이런 코드를 한 번쯤은 작성한 적이 있을 것이다.하지만, 여기서 sum은 '변수명' 으로 사용되고 sum()은 '메서드'로써 사용된다.(매개변수1, 매개변수2)를 담을 수 있는 메서드라는 것. 여기서 궁금증이 생겼다.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이 안에 int sum(int value1, int value2) 를 넣어서 사용하면 안되는 것인가? 왜 public class Calculator 안에 적어줘야했을까? 에 대해 생각해보려고한다. 우선, 지금 당장은 코드가 짧아서 개발자들이 코드를 읽.. 더보기
스코프, 형변환 간단 정리 스코프: 지역 변수와 범위변수는 선언된 위치에 따라 지역 변수, 멤버 변수 등으로 나뉩니다. 여기서 지역 변수는 특정 지역, 즉 변수가 선언된 코드 블록({}) 내에서만 사용 가능한 변수를 의미합니다. 지역 변수는 선언된 블록 안에서 생존하며, 블록을 벗어나면 제거되어 접근할 수 없습니다.변수의 접근 가능한 범위를 스코프(Scope)라고 합니다. 스코프가 넓은 변수는 코드 전체에서 접근 가능하지만, 스코프가 좁은 변수는 특정 블록 내에서만 접근할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main() 메서드 내에서 선언된 변수 m은 main() 메서드 전체에서 접근 가능하지만, if() 블록 내에서 선언된 변수 x는 if() 블록 내에서만 접근 가능합니다.package scope;public class Scope1 { p.. 더보기
자바 연산자, 조건문, 반복문 간단 명령어 정리 산술 연산자산술 연산자는 숫자를 계산하는 데 사용되며, 기본적인 수학 연산을 수행합니다.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나머지(%) 연산자가 있습니다. int형끼리 계산하면 결과도 int형이 되므로, 소수점 이하를 포함하려면 형변환이 필요합니다. (ex. double)예제:5 / 2 = 2 (int형 나눗셈)5 % 2 = 1 (나머지 연산)주의: 숫자를 0으로 나누는 것은 허용되지 않으며, 예외가 발생합니다.문자열 연산자자바에서는 문자열에 + 연산자를 사용하여 문자열을 연결할 수 있습니다. 문자열과 다른 타입의 데이터를 더하면, 자바는 자동으로 해당 데이터를 문자열로 변환한 후 연결합니다.증감 연산자증감 연산자(++, --)는 변수의 값을 1만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연산자입니다... 더보기